
│ 탑(TOP) 라이너 란?
리그 오브 레전드 (LOL) , 소환사의 협곡 상단에 위치한 포지션입니다. 탑 라인은 평균적으로 게임 내내 1 vs 1 의 경쟁구도를 가지는 유저들 사이에서 통칭, 상남자들의 땀내나는 라인으로 일컫습니다. 1:1의 전투를 선호하는 라인 특성 상 *브루저(Bruiser) 와 *탱커, *근접 딜러를 사용합니다.
텔레포트 (스펠) 을 이용하여 게임 중 후반 사이드( 탑 · 바텀 ) 미니언(CS) 정리를 하여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대에게 혼란을 주고 빈틈을 만들어주며 아군의 탑이 사이드에서 상대 탑 라이너에게 승리할 시, 게임의 판도가 뒤집힐 정도의 큰 영향을 주는 라인입니다.
기본적으로 탑 라인의 챔피언들은 능력치 자체가 높고 ( 즉, 체급 자체가 높다로 해석 가능) 근접 챔프들이기 때문에 챔피언의 난의도가 쉬운 편이나 특정 챔피언은 피지컬 · 높은 판단력을 요구합니다.
탑은 라인이 길기 때문에 라인 관리 방법과 운영 단계에서 기본적인 지식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지식은 롤 강의 전문 다크팀에서 제공하는 프리미엄 강의를 통해 보다 디테일하고 심층적으로 배움을 얻을 수 있습니다.
탑(TOP) 을 잘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승률을 높이기 위해 현재 메타에 좋은 챔피언을 사용해야 합니다. 메타를 분석하고 적응하는 것은 롤(LOL)에서는 아주 중요한 기술입니다. 이와 같은 메타는 변화를 좋아하는 라이엇 특성상 자주 바뀌기 때문에 이를 잘 파악하는 것은 티어 향상의 지름길입니다.
탑은 1대1 로 싸우는 경쟁 구도가 게임내내 길게 유지되므로 상대에게 킬을 내어주는 것은 엄청나게 치명적입니다. 또한 라인 프리징 및 디나이 등을 당하여 경험치와 골드 수급을 못하여 상대방과의 벌어진 격차를 좁히기란 매우 힘들 것입니다. 그러므로 상대방의 턴과 나의 턴을 잘 이용하여 전투를 이어나가야합니다.
* 브루저 란?
데미지와 체력, 즉 딜 및 탱 밸런스를 갖춘 챔프를 뜻합니다.
* 탱커 란?
방어력과 높은 체력 기반 챔프를 뜻합니다.
* 근접 딜러 란?
공격력 중심 기반 챔프를 뜻합니다.
1. 와드의 활용성
소환사의 협곡에는 3가지 종류의 와드가 있습니다. 그 종류로는 일반와드, 핑크와드 , 망원형 개조 (파란와드) 이며 탑라이너가 사용하는 와드는 일반적으로 일반 와드, 핑크 와드입니다.
아래는 이 두가지 와드를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활용 방법입니다.
1-1. 일반 와드 : 라인 주도권을 잡은 후, 상대 윗진영 정글 깊숙한 곳 와드를 설치하여 시야 확보 후 팀에게 적 정글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주어 상대 정글의 갱킹에 대한 위협으로부터 팀을 안전하게 합니다.
1-2. 핑크 와드 : 라인의 주도권을 잡아 탑 라인의 강가 점 부쉬 (단일 부쉬) 에 핑크 와드를 박아서 적군 정글의 개입을 방지하고 상대 탑에게 아군 정글의 압박을 느끼도록 플레이해야합니다.
2. 텔레포트 활용
게임이 시작한 후 10분이 되면 아군의 포탑 뿐만 아니라 미니언(CS) 과 아군 와드, 아군의 소환물 등에도 텔레포트를 사용이 가능해집니다. 이를 활용하여 탑 라인이 아닌 아군에게 텔레포트를 사용해 빠르게 합류하여 전투를 승리로 이끄는 확률을 높혀야합니다.
평균적으로 바텀쪽에서 교전이 많이 일어나게 되며 상대방이 텔레포트를 사용할 시 무작정 따라가지 않고 근거가 있는 합류를 해야할 지, 해당 라인의 미니언을 빠르게 클리어해 상대방에게 경험치 손실과 포탑채굴, 즉 골드 이득을 취할지 순간적인 판단을 해야합니다.
판단을 잘못하게 될 경우 막대한 피해를 입게되며 게임의 승패에 큰 영향을 미치게됩니다.
3. 상대 정글 망치기
나의 맞라이너를 압도한 후 상대 정글까지 전진하여 상대의 정글 자원 (캠프 몬스터) 을 처치하여 나의 성장을 극대화하고 상대방의 성장을 막아 우리 정글이 격차를 낼 수 있도록 팀에게 이로운 플레이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플레이는 상대 정글은 윗쪽 캠프가 없기 때문에 자원을 얻기 위한 동선이 제한되며 맵의 반을 가져 올 수 있는 엄청난 이점이 생깁니다.
다만 상대 진영으로 깊숙히 들어가기 때문에 리스크가 커서 조심해야합니다.
롤대리 롤강의 롤듀오 NO.1 다크팀.
│ 탑(TOP) 라이너 란?
리그 오브 레전드 (LOL) , 소환사의 협곡 상단에 위치한 포지션입니다. 탑 라인은 평균적으로 게임 내내 1 vs 1 의 경쟁구도를 가지는 유저들 사이에서 통칭, 상남자들의 땀내나는 라인으로 일컫습니다. 1:1의 전투를 선호하는 라인 특성 상 *브루저(Bruiser) 와 *탱커, *근접 딜러를 사용합니다.
텔레포트 (스펠) 을 이용하여 게임 중 후반 사이드( 탑 · 바텀 ) 미니언(CS) 정리를 하여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대에게 혼란을 주고 빈틈을 만들어주며 아군의 탑이 사이드에서 상대 탑 라이너에게 승리할 시, 게임의 판도가 뒤집힐 정도의 큰 영향을 주는 라인입니다.
기본적으로 탑 라인의 챔피언들은 능력치 자체가 높고 ( 즉, 체급 자체가 높다로 해석 가능) 근접 챔프들이기 때문에 챔피언의 난의도가 쉬운 편이나 특정 챔피언은 피지컬 · 높은 판단력을 요구합니다.
탑은 라인이 길기 때문에 라인 관리 방법과 운영 단계에서 기본적인 지식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지식은 롤 강의 전문 다크팀에서 제공하는 프리미엄 강의를 통해 보다 디테일하고 심층적으로 배움을 얻을 수 있습니다.
탑(TOP) 을 잘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승률을 높이기 위해 현재 메타에 좋은 챔피언을 사용해야 합니다. 메타를 분석하고 적응하는 것은 롤(LOL)에서는 아주 중요한 기술입니다. 이와 같은 메타는 변화를 좋아하는 라이엇 특성상 자주 바뀌기 때문에 이를 잘 파악하는 것은 티어 향상의 지름길입니다.
탑은 1대1 로 싸우는 경쟁 구도가 게임내내 길게 유지되므로 상대에게 킬을 내어주는 것은 엄청나게 치명적입니다. 또한 라인 프리징 및 디나이 등을 당하여 경험치와 골드 수급을 못하여 상대방과의 벌어진 격차를 좁히기란 매우 힘들 것입니다. 그러므로 상대방의 턴과 나의 턴을 잘 이용하여 전투를 이어나가야합니다.
* 브루저 란?
데미지와 체력, 즉 딜 및 탱 밸런스를 갖춘 챔프를 뜻합니다.
* 탱커 란?
방어력과 높은 체력 기반 챔프를 뜻합니다.
* 근접 딜러 란?
공격력 중심 기반 챔프를 뜻합니다.
1. 와드의 활용성
소환사의 협곡에는 3가지 종류의 와드가 있습니다. 그 종류로는 일반와드, 핑크와드 , 망원형 개조 (파란와드) 이며 탑라이너가 사용하는 와드는 일반적으로 일반 와드, 핑크 와드입니다.
아래는 이 두가지 와드를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활용 방법입니다.
1-1. 일반 와드 : 라인 주도권을 잡은 후, 상대 윗진영 정글 깊숙한 곳 와드를 설치하여 시야 확보 후 팀에게 적 정글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주어 상대 정글의 갱킹에 대한 위협으로부터 팀을 안전하게 합니다.
1-2. 핑크 와드 : 라인의 주도권을 잡아 탑 라인의 강가 점 부쉬 (단일 부쉬) 에 핑크 와드를 박아서 적군 정글의 개입을 방지하고 상대 탑에게 아군 정글의 압박을 느끼도록 플레이해야합니다.
2. 텔레포트 활용
게임이 시작한 후 10분이 되면 아군의 포탑 뿐만 아니라 미니언(CS) 과 아군 와드, 아군의 소환물 등에도 텔레포트를 사용이 가능해집니다. 이를 활용하여 탑 라인이 아닌 아군에게 텔레포트를 사용해 빠르게 합류하여 전투를 승리로 이끄는 확률을 높혀야합니다.
평균적으로 바텀쪽에서 교전이 많이 일어나게 되며 상대방이 텔레포트를 사용할 시 무작정 따라가지 않고 근거가 있는 합류를 해야할 지, 해당 라인의 미니언을 빠르게 클리어해 상대방에게 경험치 손실과 포탑채굴, 즉 골드 이득을 취할지 순간적인 판단을 해야합니다.
판단을 잘못하게 될 경우 막대한 피해를 입게되며 게임의 승패에 큰 영향을 미치게됩니다.
3. 상대 정글 망치기
나의 맞라이너를 압도한 후 상대 정글까지 전진하여 상대의 정글 자원 (캠프 몬스터) 을 처치하여 나의 성장을 극대화하고 상대방의 성장을 막아 우리 정글이 격차를 낼 수 있도록 팀에게 이로운 플레이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플레이는 상대 정글은 윗쪽 캠프가 없기 때문에 자원을 얻기 위한 동선이 제한되며 맵의 반을 가져 올 수 있는 엄청난 이점이 생깁니다.
다만 상대 진영으로 깊숙히 들어가기 때문에 리스크가 커서 조심해야합니다.
롤대리 롤강의 롤듀오 NO.1 다크팀.